야관문(양기부족) 예로부터 야관문은 밤을 풀어주는 풀이라하여 그 이름이 붙었다. 비수리라고 부르는 이 약초는 농촌에서 묶어서 빗자루로 쓰기도 했던 흔한 풀이었는데 양기가 부족한 이들에게 비아그라 만큼이나 좋은 효과가 있다. 야관문은 몇가지 남성 질병과 양기부족, 조루, 유정, 음위증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 약이 되는 나무활용 2009.07.06
치자의 복용법과 치자주 담그는 법 치자의 효능 정 의 치자나무잎은 투리나무잎과 비슷하나 두껍고 굳으며 음력 2~3월에 꽃이 핀다. 꽃은 매우 향기로우며 열매를 약으로 쓴다. 치자나무는 가슴과 대 소장에 있는 심한 열과 위에 있는 열을 가시게 하고 속이 답답한 증상을 낫게 한다. 열독을 없애고 다섯 종류의 임병(淋病)을 낫게 하고 .. 약이 되는 나무활용 2008.12.01
각종 한방 분말의 효능 [각종 한방분말의 효능] 검은깨: 노화방지에 효과적, 건조한 피부와 두피에 영양공급 구기자: 노화, 영양공급, 붉은피부, 주근깨에 탁월 녹두: 청정효과, 해독, 미백, 기미, 주근깨, 아토피성 피부염, 영양공급, 모공수축효과 녹차: 살균, 피부탄력강화, 모공수축, 폴리페놀 성분이 피부노화예방, 미백, 여.. 약이 되는 나무활용 2008.12.01
치자의 효능 치자(梔子)나무는 지자(支子)라고도 불리는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서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늘푸른 넓은 잎 떨기나무인데 꽃향기가 뛰어나 정원수로 많이 재배된다. 높이는 2~3m 정도이며, 잎은 긴 타원형의 피침형이고, 윤기가 난다. 꽃은 여름에 피고, 열매는 황갈색을 띤다. 술을 담끌 때는 꽃과 열매.. 약이 되는 나무활용 2008.12.01
[스크랩] 월악 산촌에 흐드러진 야관문 술담기...[회춘정력제] 야 관 문 (자연산) ▶ 부작용 없는 야관문 야관문은 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이다. 우리말로는 비수리라고 하며 한자로는 절엽철소추(截葉鐵掃帚), 야관문(夜關門), 삼엽초(三葉草), 야계초(野鷄草), 반천뢰(半天雷), 폐문초(閉門草), 공모초(公母草), 음양초(陰陽草), 백관문초(白關門草), 야폐초.. 약이 되는 나무활용 2008.08.09
산초와 제피(초피) 구별하기& 약효 산초 와 제피 ( 초피 ) 구별하기 맛과 향이 비슷해서 보통 구별하기도 어렵고 천연약물대사전이나 향약집성방에서는 산초와 초피나무를 구분하지 않고 천초(川椒), 화초(花椒), 산초(山椒)로 명명(命名)하고 있다. 초피는 제피(경상도), 젠피(전라도), 조피(이북), 지피, 남추, 진초등으로 불린다 난 경상.. 약이 되는 나무활용 2008.08.01
벌나무(산청목)의 효능 단풍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 분류 단풍나무과 분포지역 한국 자생지 고지대의 습기찬 골짜기나 계곡 크기 높이 10∼15m 높이는 10∼15m이다. 해발고도 600m 이상인 고지대의 습기찬 골짜기나 계곡가에 드물게 자라는 교목으로, 산청목이라고도 한다. 나뭇가지가 벌집 모양이어서 벌나무라는 이름이 붙여.. 약이 되는 나무활용 2008.04.04
신선목의 효능 신선목 빼빼목 홀쭉이 나무 등 의으로 불리운다 그리고 이뇨 작용이 탁월하다. 대소변이 잘나오게 하며 변비가 있는 환자에게도 유용한 약나무이다. 오래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귀가 잘 들리며 산모에게는 젖이 잘나오게 하고 폐경이 된 여인들은 월경이 다시 나오게 한다. 신선목은 정식 학명이 나와.. 약이 되는 나무활용 2008.04.04
겨우살이의 효능 음용법 *겨우살이의 효능* 1. 항암작용. 겨우살이는 가장 강력한 항암식물의 하나이다. 유럽에서는 암 치료에 가장 탁월한 효과가 있는 식물로 겨우살이와 털머위를 꼽고 있을 정도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민간에서 겨우살이를 달여서 먹고 위암,신장암,폐암등을 치유한 사례가있다. 2. 혈압 강하(고혈압,동맥.. 약이 되는 나무활용 2008.04.04
약은 산과 들에 지천으로 널려있다. 지금은 문명과 공해의 독으로 온갖 질병이 창궐하는 시대이다. 거의 모든 사람은 몸도 마음도 병들어 있다. 온 인류가 자연의 섭리를 거역한 죄로 갖가지 공해와 오염의 독 속에서 중병을 앓으며 죽어 가고 있다 온 세상에 만연한 죽음의 병을 고칠 수 있는 약은 산과 들에 지천으로 널려 있다 ...... 첫.. 약이 되는 나무활용 200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