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별 이미지 효과

[스크랩] 각종 약초와 나물들

아모스 33 2009. 9. 25. 16:46

 

청아 http://planet.daum.net/kjcjkj/ilog/7903470 복사
 산야초의 종류

behavior=alternate width=684 bgColor=black height=15 align="middle">산야초의 이름을 클릭하시면 이미지, 특징, 먹는방법, 효능, 민간요법등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가락지나물

가시연

가지

각지둥굴래

각시원추

갈대

갈퀴나물

감국

감자

강활

개감수

개구리밥

개망초

개맨드라미

개미취

개별꽃

개쑥부쟁이

개연꽃

갯기름나물

갯무

검은콩

결명자

고깔제비꽃

고들빼기

고마리

고비

고사리

고삼

고수

고추나무

고추나물

골풀

곰취

관중

광대나물

광대수염

괭이밥

구릿대

구절초

궁궁이

금강봄맞이꽃

금강애기나리

금강제비

금낭화

금불초

기린초

긴병풀꽃

까마중

까치수염

깽깽이풀

꼭두서니

꽃다지

꽃마리

꽃무릇

꿀풀

꽈리

꿩고비

꿩의비름

 

 

 

 

 

나도냉이

나도옥잠화

나비나물

나팔꽃

남산제비꽃

냉이

냉초

노루발풀

녹두

놋젓가락나물

눈비름

노랑장대

는쟁이냉이

 

 

 

 

 

닥풀

단삼

단풍제비꽃

단풍취

달래

닭의장풀

담배풀

당개지치

당근

대극

대나물

대마

대청

대황

댑싸리

더덕

도라지

도꼬마리

도라지모시대

독말풀

독활

돌나물

두메부추

두메고들빼기

두릅나무

둥굴레

들깨

등골나물

디기탈리스

딱지꽃

땅콩

떡쑥

뚝깔

 

 

마늘

마디풀

마름

마타리

마편초

만삼

말나리

말냉이

매자기

맨드라미

맥문동

메꽃

메밀

머위

며느리배꼽

멸가치

명아주

모시풀

모싯대

목향

목화

무릇

물레나물

미국제비꽃

미나리

미나리냉이

미역취

미치광이풀

민들레

민박쥐나물

민백미꽃

민솜대

 

 

바디나물

바보여뀌

바위솔

바위취

박주가리

박하

반하

방가지똥

방아풀

방풍

번행초

벌개미취

벌깨덩굴

범꼬리

범부채

벼룩이자리

별꽃

병꽃풀

배초향

백선

뱀딸기

뱀무

보리

보리뱅이

복수초

봄맞이꽃

봉선화

부들

부처손

부추

분취

붉은참반디

비름

뻐꾹채

뺑쑥

 

 

 

 

 

 

 

 

사상자

사철쑥

산꿩의다리

산마늘

산박하

산부추

산비장이

산쑥

살갈퀴

삼백초

삼지구엽초

샤프란

서양민들레

서울제비꽃

석곡

석창포

선인장

섬말나리

섬초롱꽃

세뿔석위

생강

소리쟁이

속단

속세

솔나물

솔채꽃

솜나물

쇠뜨기

쇠무릎

쇠별꽃

쇠비름

쇠서나물

수리취

수박

수선화

수세미오이

수수

수영

순채

쉽싸리

승마

시호

싱아

실세삼

쑥부쟁이

쓴풀

씀바귀

 

 

 

 

 

 

아마

아욱

앉은부채

약란

약모밀

얇은잎제비꽃

양귀비

양지꽃

애기괭이밥

애기똥풀

애기매꽃

앵초

어수리

얼레지

엉겅퀴

여뀌

여로

여주

연잎꿩의다리

염아자

오리더부살이

오이

오이풀

옥수수

용담

완두

왕갓

왕과

왕고들빼기

우엉

울릉미역취

원추리

유채

율무

으름난초

은방울꽃

이삭여뀌

이질풀

익모초

 

 

 

 

 

자란

자리공

작약

잔대

장구채

장대나물

전호

절굿대

점나도나물

접시꽃

제비꽃

조뱅이

족도리풀

졸방제비꽃

좀씀바귀

쥐꼬리망초

쥐방울덩굴

쥐오줌풀

지느러미엉겅퀴

지모

지치

지칭개나물

진득찰

진범

진퍼리까치수염

진황정

질경이

짚신나물

 

 

 

 

 

 

차즈기

참깨

참꽃마리

참나리

참나물

참당귀

참산부추

참외

참좁쌀풀

참죽나무

참취

창출

천궁

천남성

천마

천문동

초롱꽃

치커리

컴프리 콩제비꽃 큰각시취 큰뱀무 큰수리취 큰엉겅퀴 큰애기나리 큰앵초 큰황새냉이

타래붓꽃

태백제비꽃

택사

털여뀌

털중나리

털진득찰

토란

토마토

톱풀

파초

패랭이꽃

패모

풀솜대

표주박

피마자 

 

하늘말나리

하늘타리

하수오

한련초

할미꽃

향들골나물

향유

해바라기

현호색

호박

호장근

호제비꽃

호프

환삼덩굴

황금

황기

회향

흰낚시제비꽃

흰명아주

흰민들레

흰씀바귀

 

 

 

 

 

 

《쉽게찾는 우리 나물》《쉽게 찾는 우리 약초》김태정저 현암사 에 수록된 내용임

 

※ 민간약초 복용시 주의사항

 

< 식물성 >

1.구절초    남성이 오랫동안 복용하면 양기가 줄어든다.

2. 개옻나무  간이 나쁘거나 옻을 타는 사람은 복용금지.

3. 개진달래  꽃은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음.

4. 국화마   아삭아삭한 마와는 달리 속살이 딱딱하고 혀에 대면 아릿한 맛이 강해 먹지 않는다.

5. 고사리   칼슘과 칼륨이 풍부. 비타민 파괴성분 함유, 한꺼번에 많이 먹거나 오래 먹으면양기 강하되고, 눈이 침침해질 수 있고,

                 배가 불러옴. 성질이 차서 몸이 찬 사람과 소화기관이 약해서 평소 음식을 적게 먹고 천천히 먹는 사람은 많이 먹어서

                 는 안된다. 비타민B1이 부족하면 각기병이 생기는데, 고사리를 많이 먹으면 다리가 약해져서 걷지 못하게 된다고 한다.

6. 고비      산모, 위가 약한 사람은 먹지 않는다.

7. 갓버섯  유사종인 갈색 고리가 있는 ‘갈색 고리 갓 버섯’은 자루 길이가 3~5cm로 짧은데, 독성이 있어 먹지 말아야 함.

8. 고삼     신체허약자, 만성소화기질 환자, 임산부 및 습관성유산증상 자에게 신중히 사용. 독성이 있어 무경험자는 사용금지.

                가능한 가루 또는 알약으로 복용하거나 외용함

9. 근대    위와 장을 튼튼히 하지만,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오히려 위장이 상할 수도 있다.

               * 독성분 수산이 함유되어 있음.

               * 중독증세→ 체내에서 칼슘과 결합하여 불용성염을 형성 신장결석, 요결석의 원인이 됨.

10. 꽃다지  몸이 약한 사람,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 특히 소화기관이 약한 사람은 과다섭취금지.

11. 가지     워낙 찬 성질이라 자주 화를 내고 과격한 사람에게는 열을 식혀주는 효과가 있지만 몸이 차고 대변이 무른 사람이 지나

                  치게 먹으면 전에 없던 병이 나타나기도 함. 몸의 기운이 아무렇게나 움직이게 할 수 있기도 하다.

                 또,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여자는 자궁이 상할 수도 있다. 목을 많이 쓰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먹으면 자꾸 목소리가

                 거칠어져 아름다운 목소리를 해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

12. 감자    씨눈에는 햇빛이 닿으면 녹색으로 변해 솔라닌 독소가 생성되어 식중독을 일으킨다.  이 독소는 식초 물에 끓이면 제거되지만,

                 녹색부분을 제거해서 먹는 것이 안전. 또,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먹으면 혈당치를 급격하게 상승시킬 수 있으니 주의.

13. 겨자    몸이 마른 사람이 오래도록 먹으면 기침이 심해진다. 또, 몸에 열이 많아서  후끈후끈 자주 달아오르는 사람들은 먹으면 안된다.

14. 결명자  대변이 무르고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은 많이 먹으면 안 된다. 만일 이런 사람이 계속 결명자 차를 먹게 되면 몸의 기운이

                 떨어지고 어지럼증을 느낀다.

15. 고추    심하게 매운 것을 먹게 되면 피부에 반점이 생기기도 하며, 위를 상하게 할 수 도 있으므로 평소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이

                 있는 사람은 적게 먹는 것이 좋다. 열이 많은 소양인 체질은 먹지 않는 것이 이롭다.

16. 감       타닌산은 수렴작용이 강해 변비증세가 있는 사람은 먹지 않는다. 타닌산이 철분과 잘 결합하여 빈혈을 일으켜서 몸이 차진다.

                타닌독성물질은 간 경변, 간암, 백혈병의 원인이 되는데, 덜 익은 감은 되도록 먹으면 안 된다.

17. 개암    많이 먹으면 설사를 하므로 주의.

18. 고구마  비만, 당뇨환자들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고구마에 검은색 반점이 생기면 이포메아마론이란 물질이 생기는데,

                  이 물질은 독성과 항생작용을 하므로 먹어서는 안 된다.

19. 국화     기운이 허약하고, 소화기능이 약하고 설사를 하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

20. 갓      종기가 나거나 눈병이 자주 나고, 치질이 있고, 혈변이 나오는 사람은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21. 계피   쉽게 흥분하고 몸에 열이 많아서 물을 많이 마시고, 얼굴로 열감이 자주  달아오르는 사람은 먹어서는 안 된다.

                또, 임신 중인 사람은 조심해서 사용해야 된다.

22. 고욤   몸이 찬 사람이 너무 많이 먹으면 전에 앓았던 병이 재발할 수 있고, 성질이 너무 차서 심한 기침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

23. 곤약   평소 설사를 잘하는 사람은 먹으면 안 된다.

24. 구기자  감기가 있을 때나, 몸이 뜨거워서 추위를 타지 않는 사람, 소화기관이 약해서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은 복용금지.

25. 귤      너무 많이 먹으면 담이 잘 결린다는 것. 또,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카로틴이 몸속에 남아 있어서 손바닥, 발바닥이 노랗게 변하

               지만 병이 아니니 걱정할 것이 없다. 위산과다증환자나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먹으면 속이 쓰리고 기운이 떨어지기도 한다.

26. 감초  기운을 막아주는 성질이 있어 뚱뚱하고 자주 붓는 사람이 먹으면 더욱 살찔 수 있다.  6주 이상 과용금지. 장복 시 저칼륨혈증을

               유발하고, 세포사이에 물과 나트륨이 축적되어 수종, 고혈압 등의 부작용을 일으킴.

27. 녹차   성질이 서늘해서 몸이 찬 사람이 오랫동안 마시면 아랫배와 손발이 차가워진다.  

                설사를 자주하고 식욕이 없는 사람은 많이 마셔서는 안 되고, 물을 많이 마시지  못하는 사람이 억지로 녹차를 마실 필요는 없다.

             &nb

출처 : 각종 약초와 나물들
글쓴이 : 청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