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주식관련 정보

펀드를 고를때 꼭 필요한 5가지 원칙

아모스 33 2008. 9. 23. 16:35
펀드 고를때 꼭 필요한 5가지 원칙
[이데일리 이진철기자] 펀드 투자자라면 한번쯤은 어떤 펀드를 선택할 지 고민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주식형펀드만 해도 국내외에 투자하는 펀드가 2000여개를 넘어가는 상황에서 도대체 어떤 펀드를 선택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문수현 현대증권 펀드애널리스트는 23일 "원칙에 충실한 투자는 책임감 있는 투자로 이어진다"며 "설령 투자손실이 발생한다 해도 실패의 원인을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이후에는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노하우를 배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증권은 펀드를 고를 때 기준을 삼을 수 있는 5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 자산배분 전략으로 펀드 쇼핑이 시작된다


과거 역사를 돌아보면 여러 자산군(Asset Class) 중에서 한가지 자산이 지속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내지 못했던 것을 보게 된다. 한해는 S & P500의 수익률이 우수했다면, 그 다음해는 국내 채권형이, 그 다음해에는 이머징 주식이 높은 수익률을 냈던 것과 같이 어떤 자산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향후 가장 유리한 결과를 이끌게 될 지 모른다는 것이다.

자산 컨설팅을 할 때 투자시점 포착 노력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는 것과 펀드 투자도 단품 보다는 펀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변동성이 줄어들게 되어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현재 펀드 시장이 다양해진 결과 투자자들이 원하는 대부분의 자산을 펀드 포트폴리오로 구성할 수 있어 펀드를 이용한 자산배분 전략을 구상하기가 용이해졌다. 펀드 쇼핑은 자산배분 전략을 세우면서 시작된다.

◇펀드의 과거 성과를 토대로 미래 성과를 가늠한다

펀드의 과거성과가 우수하다고 해서 미래 운용성과가 반드시 좋다고 할 수는 없지만, 장기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기록한 펀드는 그만한 이유가 존재한다. 과거 정보를 통해서 미래성과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것이다.

과거의 운용성과는 ▲수익률 평가 ▲위험분석 ▲수급강도 등 다각도로 분석할 수 있다. 수익률 평가는 월, 분기, 연간 등의 실현수익률을 동일 유형의 펀드와 비교하는 것에서부터 월별 수익률이 동일기간의 벤치마크를 상회한 개월 수가 몇개월인지 살펴보는 것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해 볼 수 있다.

위험분석은 수익률이 동일하다면 위험이 낮은 펀드를 선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수급강도는 최근 3개월간 재투자를 제외한 설정액 증감 또는 증감률 등의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간접적인 시장의 선호도를 읽을 수 있다.

◇ 투자전략이 미래 수익률을 결정한다

펀드 운용전략을 살펴 펀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승장이 예상될 때에는 주식비중이 높은 펀드의 수익률 상승이 클 것이고, 하락장이 예상될 때에는 현금비중이 높은 펀드가 수익률 방어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법이다.

운용전략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펀드에 편입된 주식들을 업종별로 분류해 강세가 예상되는 업종의 비중이 높으며, 약세가 예상되는 업종의 비중이 낮은가를 살펴볼 수 있다. 이같은 방법을 통해 미래 높은 수익률이 기대되는 펀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과거 지표로 생각하고 펀드의 과거 운용내역을 보게 되면, 해당 펀드의 운용능력이 우수한가를 파악할 수 있어 펀드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된다.

◇ 펀드에도 펀더멘털 지표가 있다


주식형 펀드는 주식들의 포트폴리오다. 따라서 주식 종목을 고르는 기준을 펀드쇼핑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기본적 분석으로써 기업의 매출액과 주당순이익(EPS)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펀드 선택이 우수한 펀드를 고르는 하나의 척도가 된다.

뿐만 아니라 미래 배당금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으로 구성된 펀드는 배당수익률만큼 펀드 수익률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주식투자에서 가치주를 발굴하듯 펀드도 기본적 분석을 통해 자기자본 순이익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 선행 주가순자산비율(PBR)과 주가이익비율(PER)이 낮은 주식으로 구성된 펀드를 찾아낼 수 있다. 또한 애널리스트들이 발표하는 목표주가를 이용해 향후 펀드의 기대되는 상승률을 가늠해 볼 수 있다.

◇ 운용사와 펀드매니저가 미래수익률을 결정한다

펀드매니저가 계획한 대로 운용스타일을 정확히 따르는지 여부와 경험이 풍부해 변동성이 큰 장에서도 침착히 대응하는가도 펀드 선택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펀드매니저의 교체나 운용전략의 수정이 잦은 경우 일관성 있는 운용이 어렵기 때문에 운용성과가 꾸준히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펀드매니저의 경력(트랙 레코드)뿐만 아니라 운용사의 과거 성과를 측정하는 것도 안정적인 펀드운용 여부를 예측하는데 판단 자료가 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투자를 위해 펀드선택 전에 자산운용사와 펀드매니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