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주식관련 정보

부동산 펀드에 KO패 당했다

아모스 33 2007. 7. 2. 17:31
전문가칼럼
 

고종완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부동산학 전공
前)삼성그룹 및 LG그룹 근무, 한국통신 부장 역임
現) RE멤버스 대표
現) 건설교통부 정책 자문위원
부동산이 펀드에 KO패 당했다고?
등록일 : 2007-07-02 10:16:59 작성자 : 고종완 조회 : 3118

최근 주식시장의 활황세에 힘입어 주식펀드의 수익률이 약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에셋 인디펜던스 주식형펀드`의 수익률이 630%를 넘기자 분양가대비 400% 상승한 `삼성동 아이파크 55평형`보다 투자수익 측면에서 훨씬 높다고 오인되기도 한다. 하지만 주택 특유의 수익률 계산법이 적용되지 않은 채 평면적인 비교를 하는 것은 자칫 투자자들에게 혼란을 야기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올바른 수익률 비교를 해보자

 

표면적으로는 펀드 수익률이 월등

 

2001년 8월 `삼성동 아이파크 55평형`의 분양가는 7억1250만원 가량이었다. 현재 가장 비싼 아파트 중 하나로 29억7000만원을 호가를 보이고 있다. 주식펀드의 대표격인 `미래에셋 인디펜던스 주식형펀드`는 2001년 2월 출시되었다. 올 6월20일 기준으로 632.24%의 누적수익률을 기록하였다. 이 수치만 보면 언뜻 펀드의 투자수익률이 훨씬 뛰어난 것처럼 보인다.

 

주택은 거주와 투자를 동시에 일어난다.

 

하지만 주택은 `거주+투자`가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실거주를 하건 전세를 주었건 주거비까지 포함되어야 올바른 비교가 된다.

 

`삼성동 아이파크 55평형`의 2004년 6월 입주시점의 거래가격은 13억대 후반이었다. 전세가격을 5억(현재 전세가격은 10억 선)이라 가정하면 실제 투자된 비용은 2억이 조금 넘는다. 이렇게 따지면 실질적으로 10배가 넘는 상승을 한 것이다.

 

`삼성동 아이파크 55평형`은 올해 종합부동산세를 포함해 보유세를 대략 2500만원(2006년 1200만원 선)가량 납부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매각한다면 1가구1주택 대상자는 5억원, 2주택자라면 10억원 그리고 3주택 이상자라면 13억원 가량을 양도세로 납부해야 한다.

 

매도를 한다고 가정한다면 1주택자는 대략 17억원(850%), 2주택자 12억원(600%), 3주택자 9억원(450%) 정도의 차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어림셈된다. 필요경비나 양도세를 2개월 내 자진신고하면 받을 수 있는 10%의 감면 혜택을 포함시키지 않은데다 전세 가격이 계속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계산한 것이므로 실제의 해당 아파트 수익률은 더 높다.

 

만일 전세가격이 오르는데 따라 그 비용을 올려 받아 다른 부동산 투자 또는 펀드 등의 투자를 한 것으로 계산한다면 수익률이 더욱 올라갈 수도 있다. 따라서 펀드보다 수익률이 낮다고 단정짓기 어렵다.

 

부동산과 주식은 중장기적으로는 동행관계

 

물론 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가는 반면 부동산시장이 계속 침체를 보인다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주식투자로 얻은 이익의 일부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위해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되는 특성이 있어 주식시장의 상승세가 부동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특성상 주식과 부동산은 단기적으로는 대체제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동반 움직임을 보인다. 이는 두 대상 모두 경제상황과 유동성을 기반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는 것은 좋고 어느 것은 나쁘다는 시각으로의 접근보다는 자신의 자산상황 등을 고려해 두 대상에 대한 균형점을 찾으려는 노력이 중요할 뿐이다.

 

 

(주)RE멤버스 대표 종완

 

빠른 부동산정보 스피드뱅크 (www.speedbank.co.kr)

 

필자가 쓴 다른 칼럼
추세적 상승세 돌아서기 힘들듯(2007-06-24)
1주택자 노후대비! 종신역모기지론 활용하기 (2007-06-18)
부동산을 이용한 은퇴투자(2007-06-07)
하반기, 이것이 돈 되는 부동산 아이템(2007-06-04)
초고층 아파트가 대세인가(2007-05-05)
한미 FTA가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은(2007-04-24)
그린벨트에 투자하기(2007-02-08)
2007년 부동산투자 유망상품(2007-01-23)
무주택자 나순진씨 내집마련 전략은(2006-11-30)
신도시 공급 확대 집값 잡을 까(2006-11-19)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1051 부동산이 펀드에 KO패 당했다고? 고종완 2007-07-02 3118
1050 9월 가점제 전, 수도권 청약 어디가 좋을까 박상언 2007-06-26 5725
1049 추세적 상승세 돌아서기 힘들듯 고종완 2007-06-24 2805
1048 1주택자 노후대비! 종신역모기지론 활용하기 고종완 2007-06-18 2947
1047 [이명수칼럼]②동탄2신도시의 주변시장 파급효과 이명수 2007-06-11 6408
1046 [이명수칼럼]①동탄2신도시,시장에 호재? 악재? 이명수 2007-06-08 3488
1045 부동산을 이용한 은퇴투자 고종완 2007-06-07 5154
1044 하반기, 이것이 돈 되는 부동산 아이템 고종완 2007-06-04 21440
1043 규제 틈새상품 상가분양 잘 받는 방법 ! 박대원 2007-05-28 2260
1042 안팔리는 집, 6월 신도시 발표를 노려라 박상언 2007-05-21 20971
1041 은평뉴타운 청약가치의 오해와 진실 이명수 2007-05-15 6341
1040 10년후 인천 송도신도시는? 박상언 2007-05-15 8885
1039 초고층 아파트가 대세인가 고종완 2007-05-05 12013
1038 내집마련 적기는 언제? 박상언 2007-05-03 26971
1037 송파신도시 청약 안하는 것이 좋다? 이명수 2007-04-25 22927
1036 한미 FTA가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은 고종완 2007-04-24 4909
1035 청약가점제를 통해 본 2007년 신(新) 투자전략 이명수 2007-04-11 14885
1034 불황에 강한 주택 알아보는 가장 쉬운 방법 박상언 2007-04-10 14203
1033 '상가 전매해줄 테니 걱정마세요'주의보 박대원 2007-03-19 7778
1032 행복의 조건은 ‘소유’ 보다 ‘나눔’ 박상언 2007-03-09 3820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